39화. 종교개혁과 민주주의

다음화

40화. 성경 속 민주주의
감상평 9
감상평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.
대사마
소통이 잘되야 되죠 저는 예배가 쌍방향 소통이 잘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
2025. 3. 28.
공감하기
1
mingyu98@naver.com
그런데 왜?
한국교회는 담임목사가 전횡을 하고 장로와 성도들은 제대로 말도 못하는거지?
참 이상하네....
2025. 2. 24.
공감하기
2
trabang2@naver.com
목사에게 불복종하면 재앙을 입는다는 식의 예화로 협박을 하거나, 목사는 신의 지상 대리자라는 생각을 주입받거나 등등의 온갖 이유로... 뭐 우리나라만 이러지 않을지도.
2025. 2. 24.
공감하기
2
emeh
좋은 내용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
종교개혁 맥락에서 나온 저항론 관련해서는 퀜틴 스키너,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2(한국문화사) 를 보시면 좋습니다.
2025. 2. 23.
공감하기
2
현서아빠
할당제에 대해서 사회에서는 이견들이 있지만, 저는 교회 안에서만큼은 세대/성별/장애 등 다양한 특성을 바탕으로 할당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봅니다. 장로 특성이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죠(10에 9는 50대 이상 남성...). 그 편향성이 장로들 개개인의 문제를 뛰어넘는 또다른 문제가 됩니다. 개인으로서 괜찮은 일부 장로들조차도 거대한 편향성을 거스르긴 힘들어서...
2025. 2. 22.
공감하기
5
trabang2@naver.com
인간 집단이 거의 그런 듯
2025. 2. 23.
공감하기
1
trabang2@naver.com
잠깐 든 생각: 천주교의 해방신학자들에게 로마서 13장은 어떤 의미였을까요?
2025. 2. 22.
공감하기
2
스니엘
하지만 장로님들은 의견을 잘 듣지 않ㄴ.....크흠
2025. 2. 21.
공감하기
2
오마이갓
그래 이것도 교인의 역할이지. 의견을 내는것... 그러나 귀찮이즘을 이겨내야 한다 치선아.
2025. 2. 21.
공감하기
2
trabang2@naver.com
<전통 가톨릭>은 엄청 싫어할 내용이네요. 그건 그렇고 종교개혁이 탄생시킨 장로교인데 성도들의 의견 반영도 안 되고 윗사람들끼리 결정하거나 1인 지배라니(대체로 목사지만 장로도 있다고) 이상하네요?
2025. 2. 20.
공감하기
2
trabang2@naver.com
나쁜 의미로 한국화한 거라고 볼 수 있겠네요.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처럼, 목사와 장로들과 당회가 정한 대로 따르기만 하라는 상명하복으로.
신학교는 이런 걸 안 가르쳤는지?
2025. 2. 22.
공감하기
2
현서아빠
우리나라가 특히 산업화/도시화 속도가 빨랐는데, 교회 부흥 시기가 딱 맞물려서 지방에서 수도권, 서울 올라온 분들의 제 2의 고향 내지는 대안적인 가족이 되어 줬습니다. 긍정적인 면도 많았고 교회 성장에 큰 동력이 된 것도 사실이지만.. 교회에 인습적인 면이 공고히 남아 있고, 가부장제 최후의 보루가 되도록 만든 부정적인 면도 있죠. 어디서 읽은 건데, 출처가 기억나지 않아 아쉽네요.
2025. 2. 22.
공감하기
2
Jeehae Yang
👍🏻👍🏻👍🏻 감사합니다
2025. 2. 20.
공감하기
1